9-14 TIL

  • 오늘 eat the frog를 실천하지 못하여 불안한 상태로 12시간을 보냄 + 중요한 일을 마지막에 처리하여 시간 할애를 잘 하지못했음.
  • 최근 조금 느슨해져서 유튜브를 자꾸 보게되는데, 유튜브 해지와 명상을 하기로 마음먹음.

09-15 TIL

PO와 검증

  • 아침에 지하철 타면서 프로덕트 오너 대충 훑어봄.
  • 검증에 대한 이야기가 UT 챕터에 주로 있고 내가 원하던 “린하게 검증을 하는 방법들”이 안나와 있어서 다른 책들도 찾아봐야겠음.

Aggregate

  • 현시대 MSA 구조 혹은 모듈러 모놀리스에서 잘 나누어진 상태에서는 domain - application 서비스 전체가 하나의 Aggregate처럼 동작한다. 그렇기에 Bounded Context를 정하는 데에는 도움을 주지만, Aggregate을 굳이 코드 레벨에서 사용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되어보인다.

  • ESM 이슈 최근에 많이 겪고 있어서 CJS, ESM 실제 컴파일러 원리 공부 필요 => 시간 많이 축소될듯

09-16 TIL

uuidv4 vs v7

  • v7도 시간 순서를 노출하기에 보안 약점이 있긴함. 이 사실을 알고 사용해야함.
  • v7은 시간 순 정렬이 자동으로 되어서 대략적으로 db 훑어볼 때 편함

session

  • express-session sequelize를 카피한 prisma 버전을 만듦.
  • express-session-sequelize 구현체를 보니 시간대별로 세션을 지우고 있었음.
  • 인터벌에 unref라는 함수를 써서 앱 안꺼짐 방지를 하고 있었음.
  • express-session 내부 코드가 궁금해짐. 까보는중. 굉장히 작은 라이브러리. 파일이 네개만 있음. 신기하군.
  • express도 궁금해서 까봤음. 2000~3000줄 밖에 안되었음.. 신기했음. 처음 까봤는데 진짜 작은 레이어라는 것을 체감했음.

09-17 TIL

Optimistic Lock 데코레이터 구현

  • Nest에서의 데코레이터는 Typescript 문법 데코레이터를 사용함. Ecmascript에서 이제는 지원하기에 Typescript 데코레이터는 레거시임. 둘중 뭐가 사용되는지 확인하는법? 모르겠음. 찾아봐야함.
  • 데코레이터는 어디에 붙느냐에 따라 타입 시그니처가 다르다는 것을 배웠음.
  • typedescriptor 이런 개념들이 존재.

09-18 TIL

  • reflect + proxy 개념에서 proxy는 어렵지 않아보이는데 reflect 쓰는게 어려움. 왜 이런 형태인지 공부 필요할듯함.

09-19

  • 이번에도 timestamp 관리 때문에 머리 아픈중
  • timestamptz로 통일하기로함. 그렇게하면 조금 나음.

09-20

  • 지금 ts-node, tsc, tsx 중구난방인데 이런것들을 좀 이제 딥하게 알 때가 된듯함. 이제 노드 생태계 딥다이브를 2달 정도하면될듯함.
  • 이후 노드 생태계 컨트리뷰팅하면 될듯함.

09-25

  • 표준화와 class-validator로 도메인 계층에서 검증하는 것에 대해 논의함.
  • 회사에서의 결론: class-validator, 표준화 둘 다 하자. DB 자체에 제약은 최대한 걸지 말자 (성능 + 관리 이슈)
  • 나 혼자의 결론: class-validator은 지양하고 표준화 위주로만 진행

09-26

  • “prompt-maximizer” 오픈소스 개발
  • 페인포인트: 우리 회사에서는 가볍게 프롬프트를 만드려고하는데, 이게 최적의 프롬프트인지 알 수가 없음.
  • LLM-as-a-judge + 프롬프트를 여러 전략으로 생성해주는 agent들을 사용하여 제일 좋은 프롬프트 만들어주는 플랫폼.

이미 있는거

9-14 TIL

  • 오늘 eat the frog를 실천하지 못하여 불안한 상태로 12시간을 보냄 + 중요한 일을 마지막에 처리하여 시간 할애를 잘 하지못했음.
  • 최근 조금 느슨해져서 유튜브를 자꾸 보게되는데, 유튜브 해지와 명상을 하기로 마음먹음.

09-15 TIL

PO와 검증

  • 아침에 지하철 타면서 프로덕트 오너 대충 훑어봄.
  • 검증에 대한 이야기가 UT 챕터에 주로 있고 내가 원하던 “린하게 검증을 하는 방법들”이 안나와 있어서 다른 책들도 찾아봐야겠음.

Aggregate

  • 현시대 MSA 구조 혹은 모듈러 모놀리스에서 잘 나누어진 상태에서는 domain - application 서비스 전체가 하나의 Aggregate처럼 동작한다. 그렇기에 Bounded Context를 정하는 데에는 도움을 주지만, Aggregate을 굳이 코드 레벨에서 사용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되어보인다.

  • ESM 이슈 최근에 많이 겪고 있어서 CJS, ESM 실제 컴파일러 원리 공부 필요 => 시간 많이 축소될듯

09-16 TIL

uuidv4 vs v7

  • v7도 시간 순서를 노출하기에 보안 약점이 있긴함. 이 사실을 알고 사용해야함.
  • v7은 시간 순 정렬이 자동으로 되어서 대략적으로 db 훑어볼 때 편함

session

  • express-session sequelize를 카피한 prisma 버전을 만듦.
  • express-session-sequelize 구현체를 보니 시간대별로 세션을 지우고 있었음.
  • 인터벌에 unref라는 함수를 써서 앱 안꺼짐 방지를 하고 있었음.
  • express-session 내부 코드가 궁금해짐. 까보는중. 굉장히 작은 라이브러리. 파일이 네개만 있음. 신기하군.
  • express도 궁금해서 까봤음. 2000~3000줄 밖에 안되었음.. 신기했음. 처음 까봤는데 진짜 작은 레이어라는 것을 체감했음.

09-17 TIL

Optimistic Lock 데코레이터 구현

  • Nest에서의 데코레이터는 Typescript 문법 데코레이터를 사용함. Ecmascript에서 이제는 지원하기에 Typescript 데코레이터는 레거시임. 둘중 뭐가 사용되는지 확인하는법? 모르겠음. 찾아봐야함.
  • 데코레이터는 어디에 붙느냐에 따라 타입 시그니처가 다르다는 것을 배웠음.
  • typedescriptor 이런 개념들이 존재.

09-18 TIL

  • reflect + proxy 개념에서 proxy는 어렵지 않아보이는데 reflect 쓰는게 어려움. 왜 이런 형태인지 공부 필요할듯함.

09-19

  • 이번에도 timestamp 관리 때문에 머리 아픈중
  • timestamptz로 통일하기로함. 그렇게하면 조금 나음.

09-20

  • 지금 ts-node, tsc, tsx 중구난방인데 이런것들을 좀 이제 딥하게 알 때가 된듯함. 이제 노드 생태계 딥다이브를 2달 정도하면될듯함.
  • 이후 노드 생태계 컨트리뷰팅하면 될듯함.

09-25

  • 표준화와 class-validator로 도메인 계층에서 검증하는 것에 대해 논의함.
  • 회사에서의 결론: class-validator, 표준화 둘 다 하자. DB 자체에 제약은 최대한 걸지 말자 (성능 + 관리 이슈)
  • 나 혼자의 결론: class-validator은 지양하고 표준화 위주로만 진행

09-26

  • “prompt-maximizer” 오픈소스 개발
  • 페인포인트: 우리 회사에서는 가볍게 프롬프트를 만드려고하는데, 이게 최적의 프롬프트인지 알 수가 없음.
  • LLM-as-a-judge + 프롬프트를 여러 전략으로 생성해주는 agent들을 사용하여 제일 좋은 프롬프트 만들어주는 플랫폼.

이미 있는거

Copyright © 2023 Seho Lee All Rights Reserved.
</>
Latest Commit
8104335a-c9d3-5dbd-9307-b6c05838bb54
Seho Lee
2025-10-07T13:46:18Z